반응형
1. RMP (Risk Management Plan, 위험관리계획)
✔ 개념:
- 신약의 전체적인 안전성 관리 전략을 포함한 문서.
- 약물이 승인(판매 허가) 후에도 지속적으로 감시되며, **위험 최소화 조치(Risk Minimization Measures, RMMs)**를 포함.
- 특정 약물과 관련된 위험(안전성 이슈), 감시 계획, 위험 완화 조치 등을 종합적으로 관리.
✔ 주요 내용:
- 약물의 위험 요인(예상된 이상반응, 예상되지 않은 이상반응, 시그널 등) 정리
- 약물 감시(PV) 계획 및 데이터 수집 전략
- 추가적인 위험 최소화 조치 (예: 교육 자료 제공, 의료진 가이드라인, 약물 사용 제한)
✔ 언제 작성?
- 임상 3상 이후 제출하여 판매 허가 신청 시 규제 기관(FDA, EMA, MFDS 등)에 제출.
- 승인 후에도 필요 시 업데이트됨.
✔ 규제 기관 관여 여부:
- 필수 문서 (특히 EMA, FDA, PMDA 등에서 요구).
2. SMP (Safety Management Plan, 안전성 관리계획)
✔ 개념:
- 특정 임상시험(Clinical Trial)에서 안전성 데이터를 관리하는 전략을 정의하는 문서.
- RMP와 달리, 임상시험 단위에서 SAE 보고 절차 및 데이터 모니터링 방법을 규정.
- Sponsor(제약사), CRO, 연구자가 SAE 보고 및 약물감시 역할을 어떻게 수행할지를 정리.
✔ 주요 내용:
- 임상시험 중 발생한 AE/SAE 보고 절차
- 연구자와 Sponsor 간의 안전성 정보 공유 방법
- 시그널 감시, PV 데이터 분석 절차
- 임상시험 중 규제 기관 보고 일정 및 요건
✔ 언제 작성?
- 임상시험 시작 전 각 임상시험마다 개별적으로 작성.
- 특정 시험의 약물 감시 및 안전성 평가 기준을 정의할 때 필요.
✔ 규제 기관 관여 여부:
- 필수 문서는 아님, Sponsor(제약사)와 CRO가 내부적으로 관리.
🚀 RMP vs. SMP 비교 요약
구분RMP (Risk Management Plan)SMP (Safety Management Plan)
목적 | 신약의 전체적인 안전성 관리 전략 | 특정 임상시험의 안전성 관리 전략 |
포함 내용 | 위험 요인, 감시 계획, 위험 최소화 조치 | AE/SAE 보고 절차, 임상시험 중 안전성 평가 방법 |
적용 시점 | 신약 허가(판매 승인) 신청 시 | 임상시험 개시 전에 작성 |
규제 기관 제출 여부 | 제출 필수 (FDA, EMA 등) | 제출 필수 아님 (내부 관리 목적) |
📌 결론
**RMP는 신약의 전체적인 안전성 관리 계획(시판 후까지 포함)**이고,
SMP는 개별 임상시험에서의 안전성 감시 및 관리 절차를 규정하는 문서입니다.
즉, **RMP는 "약물 자체의 안전성 관리", SMP는 "임상시험에서의 안전성 관리"**에 초점이 맞춰져 있습니다.
따라서 같은 개념이 아니라 목적과 적용 범위가 다르다고 보면 됩니다.
반응형
'한줄공부 > clinical study' 카테고리의 다른 글
PV 부서의 업무 (2) | 2025.03.16 |
---|
댓글